23년 6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었고, 현재 신청자가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합니다.
8월 현재 6월 출시때와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만19세~35세 청년이 중장기 목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증식 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. 월 최대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, 만기 시 5,000만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.
2.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- 나이 : 만19세~35세 청년. 병역이행을 했을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고 그만큼 기간이 늘어난다고 합니다. 1년6개월 군생활을 했다면 만36세 6개월까지 가입이 가능한 셈입니다.
- 소득조건 : 연 6,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%이하인 청년입니다. 물론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모두 포함합니다. 가구소득 중위 180% 1인가구의 경우 월 소득이 세전 374만원입니다. 가구원수에 따른 기준 금액은 바로 아래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가구원 수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
월 소득 | 3,740,260 | 6,221,079 | 7,982,669 | 9,721,735 | 11,395,238 |
- 청년도약계좌는 공무원도 가입 가능하다고 하며, 청년층의 목돈 마련이 목적이라서 소득이 없는 취업준비생, 대학생 등은 가입이 불가하다고 합니다. 아르바이트는 고용보험 가입 시 가능하다고 하네요
3. 청년도약계좌 특징
-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월 40만원에서 7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, 정부가 3~6% 지원금을 보태주는 형태라고 합니다. 여기에 5년의 기간동안 은행이자도 별도로 받을 수 있습니다.
- 또한, 청년도약계좌는 안전한 자산 형성을 위해 금리 변동에 의한 위험을 막고자 최소 3년간 고정금리로 운영된다고 합니다.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거라고 합니다. 각 은행별로 제공하는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가 다르니 이부분은 꼭 확인하셔야하고, 1금융권이 기본금리가 더 높은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은행 | 기본+우대금리 |
농협 | 4.5%+1.0% |
신한 | 4.5%+1.0% |
우리 | 4.5%+1.0% |
하나 | 4.5%+1.0% |
기업 | 4.5%+1.0% |
국민 | 4.5%+1.0% |
대구 | 4.0%+1.5% |
부산 | 4.0%+1.5% |
광주 | 3.8%+1.7% |
전북 | 3.8%+1.7% |
경남 | 4.0%+1.5% |
-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 청년을 위한 추가 이자 지원도 있습니다.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를 진행하고,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과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를 적용한다고합니다. 총 급여 2,400만원 이하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,600만원 이하,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,600만원 이하인 경우 대상이라고 하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관련 내용 확인하셔서 추가 이자 지원도 꼭 챙겨 받으시길 바랍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혜택이 좋은 금융상품임은 확실합니다. 하지만 5년이라는 기간을 해지 없이 완납해야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확실한 판단이 필요합니다.
청년희망적금의 경우 파격적인 조건으로 예상치 이상의 가입자가 몰렸지만, 출시 7개월만에 30만명이 해지했다고 하네요.
따라서 이번 청년도약계좌 역시 만기가 긴 만큼 목돈이 묶여있게 된다는 점을 명심하시고 중도 해지시 감면받은 세금을 다시 추징한다고 하니 신청전에 꼭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월 납입 금액을 결정하시시 바랍니다.
다음 포스팅은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안내로 인사드리겠습니다.